매일성경

긍휼의 법

Joseph724 2024. 4. 12. 16:27

긍휼의 법

Law of Mercy

신명기 24:10~22

Deuteronomy 24:10-22

찬양과 나눔 Praise and sharing

찬송가 220장 사랑하는 주님 앞에 Hymn #220 Before the Beloved Lord

지난주에 어떻게 보냈나요? How did you spend last week?

 

하나님은 당신의 백성이 사회적으로 힘없는 사람을 향해 긍휼의 마음을 갖기를 원하십니다. God wants His people to have a heart of compassion toward those who are socially powerless. 부유한 사람은 가난한 사람을 함부로 대하거나, 권력이 있는 사람은 힘없는 사람들의 생명과 인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Rich people should not treat poor people poorly, and powerful people should not infringe on the lives and human rights of powerless people. 이스라엘 백성이 이렇게 약한 자들을 돌보며 살아야 하는 이유는 그들도 이집트에서 종 되었을 때 하나님이 베푸신 긍휼로 구원받았기 때문입니다. The reason the Israelites have to live by caring for the weak is because they too were saved by God's mercy when they were slaves in Egypt.

 

말씀과 나눔 Words and Sharing

1. 하나님의 백성은 가난하고 소외된 자의 인권을 보장해야 합니다(10~16)

1. God’s people must guarantee the human rights of the poor and marginalized (verses 10-16)

 

1) 이웃에게 무언가를 꾸어주고 전당물을 잡을 때 무엇을 주의해야 합니까?(10~13) 1) What should we be careful about when lending something to our neighbors or pledging something? (verses 10-13)

네 이웃에게 무엇을 꾸어줄 때에 너는 그의 집에 들어가서 전당물을 취하지 말고 너는 밖에 서 있고 네게 꾸는 자가 전당물을 밖으로 가지고 나와서 네게 줄 것이며 그가 가난한 자이면 너는 그의 전당물을 가지고 자지 말고 해 질 때에 그 전당물을 반드시 그에게 돌려줄 것이라 그리하면 그가 그 옷을 입고 자며 너를 위하여 축복하리니 그 일이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네 공의로움이 되리라

When you lend anything to your neighbor, you shall not enter his house and take the pledge, but you shall stand outside; and he who lends to you shall bring out the pledge and give it to you. If he is a poor man, you shall not sleep with his pledge, but when the sun goes down, You shall return the pledge to him, and he will sleep in it and bless you, and it will be righteousness before the LORD your God.

전당물(담보물)을 잡으려고 그의 집에 들어가지 말아야 합니다. 해가 질 무렵에는 그 전당물()을 반드시 그에게 돌려주어야 합니다.

You must not enter his house to take pledges. By the time the sun sets, you must return the pledged item (clothes) to him.

 

2) 가난한 자에게 품삯을 주는 원칙은 무엇입니까?(14~15)

2) What is the principle of giving wages to the poor? (verses 14-15)

곤궁하고 빈한한 품꾼은 너희 형제든지 네 땅 성문 안에 우거하는 객이든지 그를 학대하지 말며 그 품삯을 당일에 주고 해 진 후까지 미루지 말라 이는 그가 가난하므로 그 품삯을 간절히 바람이라 그가 너를 여호와께 호소하지 않게 하라 그렇지 않으면 그것이 네게 죄가 될 것임이라

You shall not oppress a hired worker who is needy or poor, whether he is a brother of yours or a stranger living within the gates of your land. Give him his wages on the same day, and do not put him off until after sunset, lest he appeal to the Lord for you, because he is poor and eager for his wages. Do so, or it will be sin to you.

품삯을 당일에 주고 해 진 후까지 미루지 말아야 합니다.

Pay wages on the same day and do not delay payment until after sunset.

 

3) 범죄자의 친인척에게까지 죄를 묻는 연좌제에 대해 하나님은 어떻게 말씀하십니까?(16)

3) What does God say about the guilt by association system, which holds even the criminal’s relatives guilty? (verse 16)

아버지는 그 자식들로 말미암아 죽임을 당하지 않을 것이요 자식들은 그 아버지로 말미암아 죽임을 당하지 않을 것이니 각 사람은 자기 죄로 말미암아 죽임을 당할 것이니라

The father will not be put to death for his children, nor will the children be put to death for their father; each one will be put to death for his own sin.

사람은 저마다 자신이 지은 죄 때문에 죽어야 한다.

Each person must die for the sins he or she has committed.

 

<나눔 1> 아무리 채권자라 할지라도 채무자의 생명과 인권을 함부로 침해할 수 없습니다. <Sharing 1> No matter how much a creditor is, he cannot arbitrarily infringe on the life and human rights of the debtor. 우리 사회 곳곳에 힘 있는 자가 힘없는 자를 괴롭히는 갑을 관계(주종관계)’가 만연해 있습니다. The ‘master-servant relationship’, in which the powerful bully the powerless, is prevalent throughout our society. 그리스도인들이 이런 행태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며 살아야 할지 나눠봅시다.

Let’s share how Christians should live and respond to this type of behavior.

약자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서 기도하며 우리들은 힘을 합쳐 한 목소리를 내어야 합니다. We must join forces and speak with one voice as we pray to protect the rights of the weak.

<나눔 2> 누구에게나 생명을 누리며 살 권리가 보장되어야 합니다. 그 누구도 임금(賃金) 체불(滯拂)로 인해 불이익을 당하거나 친인척의 죄로 인해 억울한 처벌을 받아서는 안 됩니다. <Sharing 2> Everyone should be guaranteed the right to enjoy life. No one should be disadvantaged due to non-payment of wages or unfairly punished for the sins of a relative. 그리스도인들이 어떻게 경제적, 사법적 정의 실현에 일조할 수 있을지 이야기해봅시다. Let’s talk about how Christians can help achieve economic and judicial justice.

임금(賃金) 체불(滯拂)로 인해 불이익을 당하거나 친인척의 죄로 인해 억울한 처벌을 받는 이들을 위해 기도하며 임금(賃金) 체불(滯拂)을 하는 사장에게 연락을 취하거나 친인척의 죄로 인해 억울한 처벌을 받는 이를 변호해 주어야 합니다. We pray for those who are disadvantaged due to non-payment of wages or are unfairly punished due to the sins of their relatives. We also contact the boss who is behind on wages or are punished unfairly due to the sins of our relatives. We must defend those who are being unfairly punished.

2. 사회적으로 연약한 자들은 갑질의 대상이 아니라 보호와 존중의 대상입니다(17~22). 2. Those who are socially weak are not objects of abuse of power but objects of protection and respect (verses 17-22).

1) 이스라엘 백성이 사회적 약자를 함부로 대하지 말하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17~18) 1) Why should the Israelites not treat the socially disadvantaged poorly? (verses 17-18)

너는 객이나 고아의 송사를 억울하게 하지 말며 과부의 옷을 전당 잡지 말라 너는 애굽에서 종 되었던 일과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를 거기서 속량하신 것을 기억하라 이러므로 내가 네게 이 일을 행하라 명령하노라

Thou shalt not wrong the stranger or the fatherless, neither shall thou take a widow's garment as a pledge; remember that thou wast a slave in Egypt, and that the LORD thy God ransomed thee from there: This thing therefore I command thee.

이집트에서 종살이하고 있는 이스라엘 백성을 하나님께서 속량하여 주셨기 때문에 Because God redeemed the Israelites from slavery in Egypt.

 

2) 이스라엘 백성이 추수 때 수확물을 다 거두지 말고 일부를 남겨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19~22) 2) Why did the Israelites have to keep some of the harvest instead of collecting all of it during harvest? (verses 19-22)

네가 밭에서 곡식을 벨 때에 그 한 뭇을 밭에 잊어버렸거든 다시 가서 가져오지 말고 나그네와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남겨두라 그리하면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 손으로 하는 모든 일에 복을 내리시리라 네가 네 감람나무를 떤 후에 그 가지를 다시 살피지 말고 그 남은 것은 객과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남겨두며 네가 네 포도원의 포도를 딴 후에 그 남은 것을 다시 따지 말고 객과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남겨두라 너는 애굽 땅에서 종 되었던 것을 기억하라 이러므로 내가 네게 이 일을 행하라 명령하노라

If, when you reap in the field, you forget a sheaf of grain in the field, you shall not go back and bring it back, but leave it for the stranger, for the fatherless, and for the widow; then the LORD your God will bless you in all that you have put your hands to; When you have plucked a tree, you must not pluck its branches again; you must spare its branches for the stranger, the fatherless, and the widow. After you have gathered the grapes of your vineyard, you must not pluck again the branches of your tree; you must save the remainder for the alien, the orphan, and the widow. You are a slave in the land of Egypt. Remember what was done; therefore I command you to do this.

나그네와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남겨두어야 합니다.

Leave it for the stranger, the orphan, and the widow.

 

<나눔 3> 이스라엘에서 경험하는 가난은 땅을 소유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사회구조적(社會構造的)인 가난이었습니다. <Sharing 3> The poverty experienced in Israel was a social structural poverty that resulted from not owning land. 하나님의 법은 그 가난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사회보장제도였습니다. God's law was the social security system needed to solve that poverty. 가난하고 연약한 사람들의 생존과 안녕을 위해 우리 공동체와 사회는 어떤 제도를 마련하고 있으며, 미흡한 부분은 무엇입니까? What systems do our communities and societies have in place for the survival and well-being of the poor and vulnerable, and what are the shortcomings?

사회보장제도를 통하여 어려운 사람들을 돕고 있으나 사각지대에 있는 이들이 제대로 보장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편법으로 수급을 받는 사례도 있습니다. Although we are helping people in need through the social security system, there are cases where people in blind spots do not receive proper coverage, and there are also cases where they receive benefits through expedient means.

 

함께 기도드려요 Let's pray together

하나님, 저희가 주변에 있는 약하고 소외된 이웃을 섬길 수 있게 하소서!

God, help us serve the weak and marginalized around us!

사회보장제도가 적절히 사용되어서 어려운 이웃에게 진정한 도움을 이루어지게 하소서!

May the social security system be used appropriately to provide true help to our neighbors in need!

저희가 경제적, 사법적 정의 실현에 일조할 수 있도록 도우소서!

Please help us help achieve economic and judicial justice!

 

www.su.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