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성경

나병환자의 회복과 2차에 걸친 정결의식

Joseph724 2022. 3. 23. 11:39

나병환자의 회복과 2차에 걸친 정결의식

 

레위기 14:1~20

 

나병환자가 완치된 후 2차에 걸친 철저한 정결 과정을 통해 비로소 자신의 본래 자리로 돌아갈 수 있었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인간의 부정과 죄악을 심히 미워하신다는 사실을 일깨워주는 동시에 비록 범죄한 자라 할지라도 참회하고 하나님 앞에 나아오면 다시 교제를 회복시켜주실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줍니다.(요일 1:9 만일 우리가 우리 죄를 자백하면 저는 미쁘시고 의로우사 우리 죄를 사하시며 모든 불의에서 우리를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

 

1차 정결 의식 칭의(稱義)의 원리

1차 정결 의식을 위해 나병에서 치유된 사람은 몇 가지 준비물을 마련해야 했습니다. 그것은 정결하고 흠 없는 산 새 두 마리와 백향목과 홍색실과 우슬초였습니다. 그리고 신선한 물을 떠 놓은 질그릇이 있어야 했는데, 이 질 그릇의 물 속에 홍색실로 묶은 백향목과 우슬초를 담궜습니다. 이러한 준비 작업이 끝나면, 제사장은 두 마리의 새 주어에서 한 마리를 취해 그 새를 홍색실로 묶은 백향목과 우슬초, 그리고 신선한 물이 담긴 질그릇 안에서 잡은 다음, 그 피를 찍어 나병에서 회복된 사람에게 일곱번 뿌리면서 그의 정함을 선언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한 마리의 새는 죽임 당한 새의 피로 적신 후에 넓은 들판에 놓아 자유롭게 날려 보냈습니다. 이러한 정결의 식이 모두 끝난 후, 나병에서 회복된 사람은 옷을 빨고 몸의 모든 털을 밀며 몸을 씻음으로써 정결케 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정결 의식은 무엇을 뜻합니까?

나병에서 회복된 사람을 상징하는 한 마리의 새가 넓은 들판을 휠휠 자유롭게 날아가는 구원과 해방으 맛보기 위해서는 희생당한 새의 피와 정결한 물이 필요했습니다. 이것은 나병 환자와 같은 우리 죄인을 구원키 위해 십자가 상에서 아낌없이 쏟으신 예수 그리스도의 물과 피를 상징합니다.(19:34 그 중 한 군인이 창으로 옆구리를 찌르니 곧 피와 물이 나오더라) ‘백향목은 죽음의 부패를 방지하는 생명의 능력을, ‘우슬초는 죽음의 냄새를 방지하는 정결의 능력을, ‘홍색 실은 죽음을 물리치는 보혈의 능력을 각각 상징합니다. 모두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 상에서 성취한 것들입니다. 따라서 나병 환자와 같은 우리들이 그 무서운 영혼의 나병에서 치료받아 정결케 됨은, 오직 우리의 죄악 때문에 대신 죽으신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보혈 덕분이다. 1차 정결 의식은 이 사실을 깨우쳐 주시고 있습니다.

 

2. 2차 정결 의식 성화(聖化)의 원리

1차 정결 의식을 치른 후, 7일이 지난 제 8일째에 나병에서 회복은 사람은 제 2차 정결 의식을 치러야 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과의 정상적인 관계를 회복하는 의식으로써, 네가지의 제사로 구성되었습니다. 먼저 숫양 한 마리로써 속건제를 드렸는데, 이 때 희생의 피가 나병에서 회복된 사람의 오른쪽 귀부리와 엄지 손가락과 엄지 발가락에 발라졌습니다(14). 속건제에 이어 속죄제와 번제와 소제가 드려졌습니다(19~20).

이러한 2차 정결 의식이 지니는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나병과 같은 무서운 죄와 죽음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의 공로로 구원받은 성도들은 그 칭의(稱義)의 자리에만 머물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 하나님께 보상하고(속건제) 회개하며(속죄제) 헌신하고(번제) 봉사하는(곡식제) 성화(聖化)의 자리에까지 나아감을 의미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나병에서 치유받은 사람의 귓부리, 엄지 손가락, 엄지 발가락에 바르는 희생의 피는 성도의 듣고 행하고 가는 곳이 거룩하고 성결해야 함을 상징하는 행위인 것입니다. 우리가 단지 칭의(稱義)의 자리(1차 정결 의식)의 자리에만 머물 때, 그것은 불완전하고 부끄러운 구원이 됩니다. 거기서 나아가 구원의 뜨거운 기쁨과 감사로써, 하나님께 충성, 헌신, 봉사하는 성화(聖化)(2차 정결의식)의 자리에까지 이를 때, 참으로 온전한 구원, 부끄럽지 아니한 구원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 자신과 우리의 가족과 성도들이 칭의(稱義)의 자리에 머물지 않고 성화(聖化)의 자리에까지 나아가는 온전한 구원을 이룰 수 있도록 기도해 주시길 바랍니다.